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청년원가주택, 역세권 첫 집 총 정리 (내용, 자격조건, 공급지역, 분양방법)

by 물쭈 2022. 9. 1.
반응형

 

 

아직 집이 없는 청년분들이나 이제 막 첫 집을 알아보고 계신 분들은 

읽어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. 

 

역대 정부마다 주택 공급 확대정책에서 소위 '로또'라 불리는 분양주택이 있습니다. 

8월 16일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부동산 정책에서도 이번 정부의 '로또'를 찾을 수 있었는데요.

바로 청년원가주택, 역세권 첫집입니다. 

 

이 글을 읽으시면 청년원가주택과 역세권 첫 집이 무엇인 지 뿐만아니라 자격조건, 예상 공급지역, 분양 받는 방법까지 싸그리 다 알게 되실 겁니다.   

 

목차

1. 청년원가주택이 로또인 이유

2. 청년원가주택 자격조건

3. 청년원가주택 예상 공급지역

4. 청년원가주택 분양받는 법 

     


     

     

    1. 청년원가주택/ 역세권 첫집이란? 

    역대 정부마다 '로또' 분양주택이 있다고 위에서 말씀드렸죠? 

    노무현 정부에는 판교신도시, 이명박 정부에는 보금자리 주택이 있었습니다.

    박근혜 정부는 공급축소를 추진해 로또라고 할 게 없었지만, 직전 문재인 정부에서는 신도시·재건축 상한제 단지가 엄청난 로또였습니다. 

     

    그렇다면 이번 정부의 '로또'는 무엇일까요 ? 

    바로 윤석열 정부가 8월 16일 발표한 주택공급 로드맵인 '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'에서 언급한 청년원가주택, 역세권 첫집입니다. 

    청년원가주택, 역세권 첫집 정책이란 공공택지, 도심정비사업의 기부채납 물량 등을 활용한 건설원가 수준의 공공분양 주택입니다. 

    이 정책을 아주 간단히 줄여보자면 

     

    • 대상 : 무주택자 
    • 분양가: 시세 70% 이하 
    • 대출조건: 저금리 장기 대출
    • 의무 거주기간: 5년 
    • 매각 시: 공공환매 / 차익의 70%만 귀속

     

    인데요 ! 

    매각 시 차익의 30%를 공공에게 반납하긴 하지만, 

    지금과 같은 고금리 시기에 저금리 대출이 가능하다는 점,

    운 좋으면 최고입지의 주택을 시세보다 50% 이상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

    무주택자에게 더 없이 좋은 정책임은 분명해보입니다. 

     

    자 이제 좋은 이유는 다 알아보았으니 자신이 자격조건에 해당하는 지 알아보러 가보실까요? 

     

    2. 청년원가주택 / 역세권 첫 집 자격 조건

     

    대상 

    우선 청년원가주택의  대상은

    청년(19~39세이하)․신혼부부(결혼 7년내 등)․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등으로 

    폭넓게 지원하고 있습니다. 

     

    소득요건 

    소득요건은 민간 신혼특공(月평균 근로자소득 140~160%) 이하로 검토중인데요. 

    연봉 약 7~8천 정도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 

     

    금융지원 조건

    정부는 대상자에게 초기부담을 낮춰 공급하기 위해 초대박 금융지원을 할 예정인데요. 

    저금리로 40년 이상 장기대출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. 

    금융지원 대상은 주택유형, 소득요건을 고려하여 추후 확정할 예정입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청약통장 조건 

    이 조건은 다른 블로그 글에서는 잘 언급을 안했을 텐데요, 바로 청약통장 제한 조건입니다.

    청년원가주택, 역세권첫집은 공공이 공급하는 공공분양이기 때문에 청약저축·종합저축 가입자만 신청 자격이 있습니다. 그러므로 청약예금·부금 가입자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. 

    청약저축이 없으신 분들은 하루 빨리 청약 통장에 가입하시길 바랍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3. 청년원가주택 예상 공급지역

    예상 공급지역은 신도시 등의 공공택지, 정비사업 및 도심복합사업, 기타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 

     

    공공택지

    공공택지 부문에서는 입지우수한 3기 신도시, 도심 국공유지 등에서 공공주택 공급물량의 30% 이상이 청년원가주택으로 공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. 

    현재 검토되고 있는 지역에는 남양주왕숙(1.5만~2만호), 고양창릉(9천~1.3만호), 하남교산(8천~1만호) 등이 있습니다. 

    이들 지역은 연내 사전청약으로 3천호 정도가 나올 것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. 

     

    정비사업  및 도심복합사업

    역세권 정비사업 기부채납 물량과 도심복합사업 등을 통해 우량입지에서 집중 공급할 예정입니다. 

    그동안에는 도심복합사업을 공공기관만 진행하며 주민의 반발과 공공역량의 한계로 부작용이 있었으나,

    이번 대책으로 민간도 사업주체가 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. 

    이에 따라 더 많은 지역에서 공급물량이 쏟아져 나올 곳으로 예상됩니다. 

     

    기타 

    기타 방법으로 서울시 토지임대부나 도시재생 혁신지구 물량 등을 적극 확보하여 공급할 예정입니다. 

    SH공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고덕강일지구에서 약 850호, 용산역 근처에서 330호를 우선추진할 예정입니다. 

     

    4. 청년원가주택 분양받는 법

    너무나도 혜택이 빵빵한 청년원가주택 분양받고 싶으시다면 다음달인 9월 발표할 예정인 

    청년주거지원 종합대책을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 

    세부적인 공급방안과 청약제도 개편, 금융지원 강화방안 등을 발표항 예정이며

    이날 사전 청약 일정도 함께 발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. 

    사전 청약 일정을 확인하시고 신청하시어 꼭 로또 당첨기회를 챙기시길 바랍니다. :)

     

     


    8.16대책의 핵심정책, 청년원가주택과 역세권 첫집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 

    9월에 발표될사전청약 일정 잊지 말고 챙기셔서, 로또 당첨되시길 기원하겠습니다. 

   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: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

    댓글0